반응형
- [ 인공지능/기초 수학 ]확률 변수, 확률 분포, 평균, 분산, 균등 분포, 정규 분포2024-02-18 20:47:53확률과 통계에서 다뤘던 내용인데 다른 선생님께서 기초 수학 파트로 설명을 해주신다 그래서 나도 헷갈리지 않게 확률과 통계 섹션에 안 넣고 기초 수학 섹션에 넣었다 사실 지금 확률과 통계 들어가기 전에 두개 강의가 더 있긴 한데 정리를 안했다... 아니 못했다 뭔 소린지 모르겠어서;; 이게 패캠의 가장 큰 단점인 것 같다. 깊이가 너무 얕다. 그래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자 할 때는 패캠은 비추합니다...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분야에서 더욱 나아고자 할 때, 여러가지 오픈 소스들을 활용해보고 싶을 때 이럴 때는 추천합니다 1. 확률 변수와 확률 분포 동전을 던져서 앞면, 뒷면을 맞추는 게임을 한다고 했을 때, 이거를 우리가 어떻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수식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동전의 앞면을 1, 뒷..
- [ 인공지능/기초 수학 ]미분, 도함수, 연쇄 법칙, 편미분, 테일러 급수2024-02-17 23:08:27오늘은 머리도 자르고 세미나도 듣고 하다보니 저녁부터 글을 쓰고 있는데 하필 내용도 좀 어렵네요;;; 테일러 급수 보면서 참 재미난 발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열심히 달려봅시다~ 1. 미분과 도함수 미분이란 특정 값에서의 순간 변화율을 의미한다 → 그래프상에서의 순간 기울기 y=x와 같은 일차함수에서는 순간 기울기가 의미가 없지만 y=x2과 같은 이차함수 이상에서는 그래프가 곡선의 형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순간 기울기가 진가를 발휘한다 순간 기울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y의변화량x의변화량으로 구해야 하는데 매번 직접 구하기에는 귀찮다 그렇기 때문에 값들을 변수로 표현하여 순간 기울기를 구하는 공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도함수를 도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함..
- [ 인공지능/기초 수학 ]함수, 로그함수, 벡터와 행렬, 극한, 입실론-델타 논법2024-02-16 21:18:58오우쉣~ 고딩 때 하던 수학 그대로이다 강의를 보니 요즘은 벡터랑 행렬을 안 배운다던데...? 이거 실화임? 벡터와 행렬 그리고 딥러닝, 누가 생각한건지 모르겠는데 참 대단한 것 같다 어제 친구 게임 인프라를 테라폼으로 구현 좀 하느라고 12시 넘어서 잤더니 조금 늦게 일어났다... 그래서 퇴근하고 마저 작성한 후에 올립니다ㅜ 1. 함수 함수란 무엇일까? 함수란 두 변수 x,y에 대하여 x가 정해지면 그에 따라 y의 값이 하나만 결정될 때, y를 x의 함수라고 한다 y=f(x) y가 여러개 정해질 수 있다면 그것은 함수가 아니다 함수는 좌표에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무수히 많은 x 값에 대응하는 y의 값을 좌표에 하나씩 표현을 하다보면 결국 그것이 이어진 것처럼 보이게 되고 그래프로 표현이 된다 그..
반응형